본문 바로가기

전무4

'전세사기 공포' 전국 확산… 관심도 실력도 없는 정부 그리고 '깡통주택 위험군' 최소 23만가구 "경기 수원시 동탄에서 불거진 ‘깡통주택’ 등의 추가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깡통주택은 매매가보다 전세금이 높은 주택을 말한다. 정의당 심상정 의원실이 20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주택자금 조달계획서(2020년∼2022년 8월) 161만건을 분석한 결과 주택 가격 대비 세입자 임대보증금 비중(전세가율)이 80%를 넘는 경우는 12만1553건이고, 전세가율이 60∼80% 미만이어서 향후 집값이 하락할 경우의 잠재적 깡통주택 위험군은 11만1481건이었다. 전국에 깡통주택 위험군이 최소 23만가구에 달한다는 이야기다." 2023. 4. 21.
경제 정책 부재 속.... 이젠 약값도 오른다. "제약사들은 원료 가격과 물류비, 인건비 등 비용이 올랐기 때문에 약값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급여가 인정되는 의약품만 가격 상승을 규제할 수 있고, 나머지는 판매자가 자율적으로 가격을 정한다고 밝혔습니다." 가격 인상 전에 가정용 비상약 정도는 사두시는게 좋겠네요. 2023. 3. 3.
권성동 "文정부 `국민 얼차려` 방역, 尹정부는 과학방역…비과학적 거리두기 없다" 흠... 솔직히 말해서 내가 이상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왜 지금 거리두기를 안 할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 거리두기가 비과학적이었다는 여당대표의 발언이라니.. 그럼 무슨 대책이라도 내놔라!!! 손 놓고 국민들 다 죽어나가게 두지 말고!!! 2022. 7. 21.
재유행 줄일 골든타임 흘려보내는 중인 질병구경청 "코로나19 유행 확산세 속에서도 정부와 방역 당국이 "국가 주도 방역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연일 자발적인 방역 참여를 강조하자 '각자도생'이라는 여론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당초 예상보다 많은 확진자가 발생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자 정부도 병상 행정명령, 유전자증폭(PCR) 검사 확대 방안을 추가로 내놨지만 여전히 실질적인 대책으로 보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온다. 21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다음주면 10만명을 넘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윤석열 정부의 '과학방역'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 특히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지난 19일 브리핑 당시 "통제 중심의 국가 주도의 방역은 지속 가능하지 못하고 우리가 .. 2022. 7.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