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석열130

이젠 엠폭스(원숭이 두창)... 정부는 뭐하고 질병청은 뭐하냐?? "우리나라에 아홉번째 엠폭스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2023년 4월 13일 기준). 그런데 6번 환자 이후로는 감염과 관련된 외국 여행 이력이 없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감염됐다는 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엠폭스 환자가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국가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국내 자체 감염이 있다는 건 국가가 진단하지 못한 엠폭스 환자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국가의 관리만으로 전파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으니 국민의 자발적인 방역이 필요하고 그래서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높였습니다. 엠폭스의 전 세계적인 추세는 감소이지만 일본과 대만 등 우리나라와 가까운 아시아 지역에서는 반대로 늘고 있습니다. 일본은 2022년 환자 발생이 8명에 불과했지만 2023년 98명으로 크게 늘었고. 대만도 지난해에는 4명의.. 2023. 4. 13.
부자감세의 부작용... 세수 감소로 인한 서민 증세 시작... 일단 유류세부터... "올해 국세수입이 당초 예산은 물론 지난해 결산치보다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가 한시적 세제 지원 조치 정상화에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부족한 세수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정상화가 시급하지만, 지원 종료에 따른 반발이 예상된다는 점은 부담이다." 법인세 감세에 부동산 부자감세에... 그러니 세수는 당연 감소할테니... 누구 주머니 털겠나... 서민 주머니 털어야지... 에효... 2023. 4. 10.
36곳이나 상장폐지 사유 발생!!!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 8곳이 사업보고서 감사의견 미달로 상장폐지 위기를 맞게 됐다. 코스닥시장 상장사 28곳도 상장폐지 절차를 밟게 됐다. 특히, KH그룹 계열사 5곳이 무더기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해 거래가 정지됐다. 10일 한국거래소는 2022사업연도 12월 결산 법인의 사업보고서 제출과 관련해 코스피 상장사 8곳, 코스닥 상장사 28곳에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5개 상장사에서 신규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으며, 3곳에서는 2년 연속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 윤석열 집권 11개월... 코스피 종목 중에도 상폐 사유가 다섯 곳이나 발생했다니... 큰 일이네... 다행이 오늘 저도 갖고 있는 종목 세 곳 익절했다죠. 그 중 두 종목이 삼전과 삼전우... 2023. 4. 10.
윤석열 집권 11개월, 대한민국 경제에 무서운 경고 나왔다 "경기가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은 통계청 경기순환시계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경기순환시계에서 ‘하강’ 국면은 지표가 전월보다 하락해 기존 추세를 밑돈다는 뜻이다. 그러다 바닥을 찍고 상승하면 ‘회복’, 계속 올라서 추세를 웃돌면 ‘상승’, 정점에서 내려오면 ‘둔화’다. 작년 중순까지만 해도 10개 지표는 하강·둔화와 상승·회복의 접점에서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경기 침체냐, 회복이냐를 판단하기 어려웠다는 뜻이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는 하강·둔화 흐름이 뚜렷해진 지표가 대부분이다. 특히 지난 1월 기준 광공업생산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수출액, 소매판매액지수는 명백히 하강 국면에 진입했다." 2023. 4. 10.
윤석열, 세금으로 미분양 아파트는 사도 쌀은 절대 살 수 없다는 강력한 의지 표명!! '양곡 관리법' 개정안에 '1호 거부권' 행사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 생산량이 목표량의 3~5%를 초과하거나 쌀값이 전년 대비 5~8% 이상 하락하면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지난달 23일 민주당의 강행 처리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 31일 정부로 이송됐다. 개정안은 국가재정에 불필요한 부담을 주고 쌀 과잉 생산을 조장할 수 있어 농업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고, 다른 산업과의 형평성 문제까지 제기될 수 있는 '포퓰리즘 법안'이라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건설업체들을 위한 미분양 건물 매입은 괜찮고 농민들 쌀 매입은 절대 허락할 수 없다는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 2023. 4. 4.
윤석열 방미일정... 레이디가가와 블랙핑크 그리고 탁현민... "☏ 탁현민 > 의전비서관실과 미국의 국무부 의전관실이 하고 그 외에 아주 기술적인 부분들은 미국 쪽 회사를 쓰는 게 절차상 맞죠. 왜냐하면 미국 현지에서 벌어지는 거니까 이 문제의 진실은 이 행사가 다 실제로 이루어졌다 치고 다 종료된 다음에 여기에 소요되는 예산을 어느 정부가 부담했느냐를 보면 누구 쪽이 먼저 제안한 건지 그리고 누가 가장 이 행사를 원했는지를 알 수 있을 거라고 봐요." 이랬는데!!!!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 행사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한류스타와 팝스타 합동 공연과 관련, 미국 측이 '한국이 비용을 부담하라'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한 전 국가안보실장이 한류스타 프로그램 보고 누락을 이유로 사퇴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공연비용 문제와도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아.... 2023. 3. 31.
반응형